**우리나라 옛이야기의 특성
1. 내용의 특성
1)참다운 정의 실현에 대한 이야기
예: '네사람의 장사' '재주꾼 삼형제' '팥죽할멈과 호랑이'등의 권력층을 비유하여 지은 이야기
권선징악, 바보..등의이야기
2)풍자와 해학이 담겨진 이야기
예: 현실에 대한 울분과 한을 승화시킨이야기로 '통버선 신고 갓끈 조이고' '개구리의 해산' 등..
3)유교적 덕목을 교훈으로 주는 이야기
예: 효나 형제간의 우애, 순결한 아내, 참으면 복이오는 이야기로'흥부와 놀부' 등...
2. 형식적 특징
1) 일차원성:이야기에 나오는 세계를 현실세계와 귀신이나 도깨비가 사는 초현실의 세계로 나누었을 때
이 두 세계다 마치 하나의 세계처럼 행동하고 이야기 된다
2) 평면성 : 이야기에 깊은구성이 없고 오로지 사건 중심의 굵직굵직하게 진행 된다.
3) 추상적 양식 : 이야기에 나오는 사람들의 내적 갈등이나 성격등이 묘사되지 않고 모두 단순, 명확,되풀이 되는 말,
고정된 형식(옛날에~~~~ 살았단다..) 이다.
===>>>>좋은 옛이야기는
1) 민중이 승리하는 이야기.
2) 극적으로 삶을 개척하는 이야기.
3) 공동체를 지향하는 이야기.
4) 유교적 도덕률을 뛰어넘는 정의의 눈으로 진실을 말하는 이야기.
5) 삶을 다양하고 풍부한 모습으로 느끼며 기쁘게 살아가도록 감동을 주고 힘을 주는 이야기.
이런 내용이 옛이야기의 형식적 특성에 맞게 잘 녹여서 이야기 고유의 맛과 재미를 충분히
살려 낸 것이 좋은 옛이야기 이다.
<울주아카데미 어린이독서지도사 과정중 이성희선생님수업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