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생님을 힘들게 하는 아이 지도법>
(1) 거짓말을 자주 하는 아이
? 상상과 현실의 구별이 힘들어 하게 되는 거짓말 (만3세)
? 훈계가 두려워 거짓말을 하는 경우
? 관심을 끌기 위해 하는 거짓말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거짓말을 하게 만드는 질문을 피한다.
? 아이의 사생활을 존중하라.
? 아이를 거짓말쟁이라고 부르는 등의 과잉반응을 보이지 말라.
? 한 번의 거짓말이 두 번, 세 번으로 늘어날 수 있음을 기억하자.
(2) 응석이 심한 아이
만 2세부터는 자기중심적인 욕구가 강해지는데, ‘고집’으로 자기 자아를 표현함
자신감이 없고 열등의식을 느끼는 아이가, 자신이 다른 아이들보다 관심을 덜 받고 있다고 느끼는 데에서
나타나는 행동
아이의 울음소리를 듣고 이해해라! 어리광은 받아주되, 떼쓰는 건 절대 받아주면 안 된다.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의존적인 아이를 능동적인 아이로
- 가장 좋은 방법은 떼를 쓰는 행동에 대해서는 무시하고 떼부리는 행동이 멈출 때쯤 되어서 가까이에
다가가서 다른 이야기를 건네준다.
? 바람직한 행동 칭찬해주기
? 일관성 있는 행동지도
? 불안감 해소시켜 주기
(3) 동작이 더디고 느린 아이
언제나 제일 늦게 나가고, 언제나 무엇을 시켜도 천천히 하므로 모든 활동 참여가 항상 늦는다.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정서적으로 우울해서 행동이 느릴 수 있다.
- 등원시 기분 꼭 살피고 눈맞춤 꼭 하기
? 아이가 산만하거나 과잉행동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
? 자립심이 없어서 느린 행동을 보일 수 있다.
- 제일 느린 아이를 제일 먼저 제일 빠른 아이를 제일 뒤에
? 신체적으로 느린 아이가 있다.
- 소근육 발달이 덜 되어 행동이 느린 아이에게 가위를 사용하는 방법, 종이를 오리는
방법, 끈을 묶는 방법, 단추를 다는 방법 등을 적절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 유치원의 생활이나 친구들과의 놀이에 즉각적인 관심이 없기 때문에 꿈지럭거리는 아이
? 주목을 끌기 위해 꿈지럭거리는 아이
? 성격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주변의 활동에 기가 질려서 몸이 잘 움직여지지 않는 경우
<느린아이에 대한 대처요령>
- 느린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 아이와 템포를 맞추어라
- 아이가 그 날 할 일은 그 날 끝내도록 한다.
- 식사지도 시 아이가 빨리 먹을 수 있도록 음식을 잘게 썰어주거나, 시간내 먹을 수 있는 양만 주도록 한다.
- 활동 전 아이에게 필요한 시간을 넉넉하게 주도록 한다.
- 느린 행동이 개선될 때마다 칭찬을 아낌없이 해준다.
- 빨리 빨리 재촉하지 않는다.
(4)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짝궁이나 팀을 정해줌으로써 아동이 소속감을 갖도록 도와준다.
- 아동이 또래와 어울릴 때 더욱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칭찬과 격려로 이를 강화시킨다.
- 아동을 또래 앞에서 칭찬해줌으로 또래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자주 만든다.
- 가정에서도 또래와 함께 어울려 놀이하는 기회를 갖도록 가정과 연계한다.
(5) 싸움이 잦은 아이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아동이 열등감으로 인해 싸움이 잦다고 판단되면 교사의 따뜻하고 애정있는 시선이 요구
- 싸우게 된 원인을 조용히 이야기하게 하고 잘못된 점을 아이 스스로 인정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
- 동극 또는 인형극을 사용해서 공격당하는 아이의 기분을 모두에게 이해시키는 것도 좋다.
- 교사가 재판관적인 권위적 태도를 취하지 않아야 한다.
(6) 징징거리는 아이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울면서 호소할 때는 응해주지 말아야 한다.
- 아이가 불편한 문제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열심히 경청해주는 것이 좋다.
- 잠시 동안 모르는 체 놔두었다가 나중에 등 뒤에서 어깨를 두드려 자기를 보게 하고 ‘왜 우는 거지,
이유를 말해주겠니? 라고 말을 건다.
- 아이가 울면 주의를 다른 곳으로 환기시켜라
(7) 행동이 산만하고 돌아다니는 아이
<교사의 적절한 지도방법>
- 산만함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서 이에 적절히 대처해 나가는 것이 필요
- 산만한 아이들은 남의 말을 끝까지 듣는 것에 아주 미숙하기 때문에 아동의 눈을 바라보
고, 손은 아동의 어깨를 잡고, 천천히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필요
- 운동이나 다른 신체적인 활동을 통하여 아동에게 쌓여있는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시키는 것도 좋다.
-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등을 위해 음악을 가지고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소개하자면 "stop & go"
(즐겁게 춤을 추다가 그대로 멈춰라) 라는 음악치료 기법 이용
1